728x90

모든 투자자들은 한국을 떠나라. 지금 당장

1997년, 대한민국 최고의 경제 호황을 믿어 의심치 않았던 그때, 곧 엄청난 경제 위기가 닥칠 것을 예견한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 ‘한시현’(김혜수)은 이 사실을 보고하고, 정부는 뒤늦게 국가부도 사태를 막기 위한 비공개 대책팀을 꾸린다.

한편, 곳곳에서 감지되는 위기의 시그널을 포착하고 과감히 사표를 던진 금융맨 ‘윤정학’(유아인)은 국가부도의 위기에 투자하는 역베팅을 결심, 투자자들을 모으기 시작한다. 이런 상황을 알 리 없는 작은 공장의 사장이자 평범한 가장 ‘갑수’(허준호)는 대형 백화점과의 어음 거래 계약서에 도장을 찍고 소박한 행복을 꿈꾼다.

국가부도까지 남은 시간 단 일주일.
대책팀 내부에서 위기대응 방식을 두고 시현과 ‘재정국 차관’(조우진)이 강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시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IMF 총재’(뱅상 카셀)가 협상을 위해 비밀리에 입국하는데…

위기를 막으려는 사람과 위기에 베팅하는 사람,
그리고 회사와 가족을 지키려는 평범한 사람,
1997년, 서로 다른 선택을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오랜만에 개봉한 여성주연 영화 국가부도의 날

이건 뭐 스포랄 것도 없이 IMF를 막지못해서 혼란에 빠진다. 이걸로 끝인듯

영화분위기 자체가 뭔가 뚜렷하지 않지만 혼란스러운 상황을 잘 보여준거 같다.

특히 연기구멍, 연출등 어색한 거 없이 담담히 IMF사태를 잘 표현해준 거 같다.

IMF당시 워낙 어려서 잘 생각난거는 없지만

아직도 뉴스에 자살보도가 나온 것은 기억날정도로 충격적인 사태였는 데...

지금 이 영화를 볼 만한 영화, 재미난 영화라고 표현할 수 없을 거 같다.

워낙 사태가 심각했고

국가가 부도라니? 솔직히 아직도 국가부도라는 단어는 들어도 이상한 단어 아닌가?

그 당시 회사부도나는 뉴스들도 보여주면서 어린세대들에게도 실제역사라라는 것을 깨닮게 해준거 같다.

특히 마지막 장면에 김혜수의 나래이션이 이 영화의 주제를 잘 대변해준거 같다.

<깨어있어라>

정부의 무능함, 더러운 정치, 기득권층, 침묵한 언론

이들을 경계하고 깨어있어야 한다는 것을 뼈져리게 느꼈다.

 

반응형

+ Recent posts